
무굴 제국 황제인 샤 자한이 아내인 아르주만드 바누 베감을 기리기 위해 지은 이 영묘는 뭄타즈
마할('선택받은 궁전'이라는
뜻)이라고도 하는데, 이 이름이 와전되어 타지 마할이라고 한다.

아르주만드 바누 베감은 1612년에 황제와 결혼한 뒤 서로 떨어져 살 수 없는 반려자로 지냈으나
1631년 부란푸르라는 도시에서
아이를 낳다가 죽었다.

타지 마할은 인도, 페르시아, 중앙 아시아 등지에서 온 건축가들의 공동 설계에 따라 1632년경에
착공되었다. 매일 2만 명이 넘는
노동자들이 동원되어 1643년경에 영묘가 완공되었고,

1649년경에는 모스크·성벽·통로 등 부속건물이 완공되었다. 타지 마할 전체가 완공되기까지는 22
년의 세월과 4,000만 루피의
비용이 들었다.

이 복합 건물은 너비 580m, 길이 350m인 직4각형으로, 남북으로 늘어서 있다. 이 중앙에는 한 변이
305m인
정4각형 정원이 있고, 그 북쪽과 남쪽에 그보다 약간 작은 2개의 직4각형 구역이 있다.

남쪽 구역은 타지 마할로 들어가는 사암 출입구와 거기에 딸린 부속 건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북쪽
구역은 야무나 강가까지 뻗어 있고
거기에 영묘가 있다.

영묘의 동서 양쪽에는 완전 대칭을 이루는 2개의 건물이 붙어 있는데, 서쪽에 있는 것은 모스크이며
동쪽의 것은 미학적 균형을 맞추기
위해 세운 이른바 '자와브'이다.

모퉁이에 8각형 탑이 솟아 있는 높은 벽이 북쪽 구역과 중정을 둘러싸고 있으며, 남쪽 울타리 밖에는
마구간과 경비병 숙소가 있다.
무굴 제국의 건축 관행은 나중에 증축하거나 개축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건축가들은 처음부터 하나의 통일체로서 타지 마할을
구상하고 설계했다.

시크리 사암으로 지은 모스크와 자와브에는 대리석을 두른 돔과 아키트레이브(평방)가 있으며 일부
표면이 단단한 돌(pietra dura)로 장식되어 있어, 순수한 하얀색 마크라나 대리석으로 지은 영묘와
는 색깔과 감촉에서 대조를 이룬다

있고 각 면마다 높이 33m로 우뚝 솟은 거대한 아치가 있다. 높은 원통형 벽(drum)으로 떠받친 양파
모양의 2중 돔이 이 건물을 완벽하게 마무리하고 있다.

영묘의 스카이라인에 율동감을 준다. 대좌의 각 모서리에는 3층 미나레트가 서 있는데, 대좌와의
대리석 접합부는 정교하게 다듬어진 영묘의 대리석과 대조를 이루고 있다.

묘실에는 황제 부부의 기념비가 있다. 이 대리석 무덤은 아름다운 돌로 장식되어 있으며, 여기저
기에 보석을 박은 투각(透刻)한 대리석 막이 둘러처져 있다.

건축물일 뿐만 아니라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건물의 하나로 여겨진다.

타지 마할은 샤 자한(Shah Janhan)이 17년의 결혼기간 동안 14명의 아이를 낳고, 15번째의 아이를
낳으려다 1629년 세상을 떠난 부인 뭄타즈 마할(Mumtax Mahal)을 추모하여 만든 무덤이다.

옮기기로 계획하고 레드 포트 등과 같은 엄청난 공사들을 계속적으로 진행하여 국가가 흔들릴 정도로
제정을 휘청거리게 만든다. 이러한 실정을 구실삼아 막내아들 아우랑제브는 반란을 일으킨다.

죽이고 1658년 아버지인 샤 자한에게서 왕위를 박탈한다.

버즈(Musamman Burj)에 가두게 되는데, 감금된 후 그 곳에서 타지 마할을 바라보며 죽을 때까지 지내야 했
던 샤 자한은 1666년 죽어서야 부인 곁에 나란히 묻히게 되었다.

반대가 되는 검은 대리석만으로 야무나강에 건너편에 짓고, 구름다리를 만들어 이 두무덤을 연결하려는
계획이 었었다는 숨겨진 이야기가 있지만 증명된 이야기는 아니다.

(Moghul) 양식의 정원을 두고, 좌우로는 회교사원과 회당을 둔 구조로 되어 있다. 타지 마할의 뒤편으로는
야무나(Yamuna)강이 흐르고 있는데, 높은 축대로 쌓여진 야무나 강쪽의 뒷면을 제외한 타지 마할의 삼면은
모두 높은 담이 둘러져 있다.

느낌이 다르고, 달빛에 따라서도 느낌이 다르다. 달빛 아래의 타지 마할을 보고 싶다면, 부근에 있는 높
은 건물의 옥상에 오르면 된다.

만든다. 본관에 있는 두묘는 아무것도 내장되어 있지 않고 본관 아래층에 뭄타즈 마할과 샤 자한이 나란
히 묻혀 있다.

타지 마할은 이란의 쉬라즈(Shiraz) 출신인 우스타드 이샤(Ustad Isa)에 의해 설계된 것인데, 설계된대로
만들기 위해 이탈리아, 프랑스, 터키 등지에서 동원된 장인들을 포함하여 총 인원이 2만여 명에 이르렀다
고 한다.

대리석을 비롯하여 건물 안의 세세한 장식을 위하여 러시아와 중국 등지에서 수입 했던 여러 가지의 돌이
사용되었는데, 이처럼 엄청난 규모의 준비과정과 장인들을 동원하여 만든 타지 마할의 건축비는 상당하였
을 것이라는 것은 짐작하고도 남을 것이다.

마당이 나오는데 타지 마할은 이 마당을 건너 또 다른 문을 통과해야 볼 수 있다. 타지 마할로 통하는
최종 관문으로 세워진 붉은 사암으로 된 문에는 아랍어로 코란(Kolan)의 경구들이 새겨져 있다.
'여행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남당리에서 (0) | 2007.03.19 |
---|---|
[스크랩] 인도(1)-그 이름만 들어도 설레이는- (0) | 2007.03.12 |
[스크랩] 인도 동영상 (0) | 2007.03.12 |
[스크랩] 기원전 6~8 세기의 아테네 관광 (0) | 2007.03.11 |
[스크랩] 아름다운 풍차 (0) | 2007.03.09 |